16장 공간․시간․지식 16장 공간․시간․지식 공간과 시간 그리고 지식의 삼분법적인 이론은 고대의 천지인(天地人) 사상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또 다시 이기론으로 구분한다면 공간은 기(氣)에 해당되고 시간은 이(理)에 그리고 지식(知識)은 제3의 작용체에 해당된다. 또한 삼분법적인 이론은 공존.. 『淸雅堂 수필시집 詩선집』/공존하는 선악-깨달음과 마음 2007.07.23
17장 결론 : 우주사상 17장 결론 : 우주사상 1장에서 16장까지 기독교가 반성하며 나아갈 길에서부터 시작하여 깨달음과 공존하는 선악에 대해 많은 문제를 다뤄왔지만 결국 그 이론은 한 가지 사상으로 녹아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공존하는 선악은 마음을 바탕으로 형성되어지고 그 마음은 바로 도의 세계인 .. 『淸雅堂 수필시집 詩선집』/공존하는 선악-깨달음과 마음 2007.07.23
자신이 아름다우면 다른 사람들도 다 아름답게 보인다 2004/11/27 청아당 http://cafe.daum.net/yhedang , Download : 0 --> , Download : 0 --> --> --> 자신이 아름다우면 다른 사람들도 다 아름답게 보인다 자신이 아름다우면 다른 사람들도 다 아름답게 보인다 눈에 보이는 데로 아는 만큼 살아가는 일은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일이다. 깨달음을 얻으면 모든 면에서 탁월한 면을 .. 『淸雅堂 수필시집 詩선집』/청아당 칼럼 2006.05.22
깨달음을 얻어도 흔들리는 마음 2004/11/17 청아당 http://cafe.daum.net/yhedang , Download : 0 --> , Download : 0 --> --> --> 깨달음을 얻어도 흔들리는 마음 깨달음을 얻어도 흔들리는 마음 깨달음을 얻으면 금강석과 같은 마음을 유지한 채 모든 것을 초월하며 사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삶과 깨달음을 놓고 본다면 분명 깨달음이 상위개념.. 『淸雅堂 수필시집 詩선집』/청아당 칼럼 2006.05.22
무엇 때문에 사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으니까 살아가듯이 2004/11/03 청아당 http://cafe.daum.net/yhedang , Download : 0 --> , Download : 0 --> --> --> 무엇 때문에 사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으니까 살아가듯이 무엇 때문에 사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으니까 살아가듯이 이백의 산중문답에 보면 푸른 산에 왜 사느냐고 묻지만 정작 이백은 빙긋이 웃는 것으로 대신한다. 대답이 궁하.. 『淸雅堂 수필시집 詩선집』/청아당 칼럼 2006.05.22
고목처럼 되기 위해서는 2004/10/30 청아당 http://www.yhedang.com , Download : 0 --> , Download : 0 --> --> --> 고목처럼 되기 위해서는 고목처럼 되기 위해서는 무심하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모든 것을 다 안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초월 뒤에는 자유스러움이 다가오지만 그만큼 삶에 대한 의미를 상실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한다. 움직이지 .. 『淸雅堂 수필시집 詩선집』/청아당 칼럼 2006.05.22
편안하게 걸을 수 있다는 것은 2004/10/27 청아당 http://www.yhedang.com , Download : 0 --> , Download : 0 --> --> --> 편안하게 걸을 수 있다는 것은 편안하게 걸을 수 있다는 것은 등에 진 짐이 무거워도 걷고 있을 때는 가볍게 걸어야한다. 몸이 가벼워서 가볍게 걷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가벼워서 가볍게 걷는 것이다. 그렇다. 살아가는 것은 누구나 .. 『淸雅堂 수필시집 詩선집』/청아당 칼럼 2006.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