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올린 詩』/『오늘 올린 詩』

5․18 광주 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식

청아당 2017. 5. 19. 11:10

518 광주 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식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후

처음으로 열리는

518 광주 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1980518

군사독재정권시대에

무참하게 희생된 민주주의 용사들이 잠들어있는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 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께서

희생자 유가족들 앞에서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발포명령자를 밝혀내겠다고 한다.

 

그리고

헌법 전문에

518 민주주의 희생정신을 싣겠다고 한다.

 

그 어느 때보다도

감격스러운 기념식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518 희생정신을 담아낸

<임을 위한 행진곡>

마음 놓고 부를 수 없게

제창이 아닌 합창만 허용하고 있기에

유가족을 비롯한 참석자들에게

가슴 아픈 사연으로 남아 있었다.

 

이 얼마나 가슴 아픈 노릇인가?

 

오늘은 9년 만에

합창이 아닌 제창을

다함께 손을 잡은 채

마음 놓고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참으로 좋았다.

 

그리고

문재인 정부 출범 뒤

첫 국가기념일을 맞아

정부와 정치권, 각계각층 인사, 시도민 등

역대 최대 규모인 1만여 명이 참석하여

5월 영령의 넋을 기렸다

 

역대 최대인 1만여 명이 참석하여

그야말로 화려하게 기념식을 마칠 수가 있었다.

 

문재인 정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인사는

정세균 국회의장, 안철수, 심상정, 안희정, 박원순, 추미애 등

여야 인사권이 대거 참석하였다.

 

오늘은

노래다운 노래를 부를 수 있어서 좋았고

한다운 한을 풀 수 있어서 좋았다.

 

불과 1년만에

합창이 아닌 제창으로

마음놓고 부를 수 있어서

한다운 한이 사라졌을 것이다.

 

제창이 무엇이라고

그것하나

제대로 부르지 못하게 했단말인가?

 

마음놓고 부를 수 있다는 것

이 얼마나 좋아보이는가?

 

앞으로도 계속해서

제창으로 부를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해놓았으면 좋겠다.

 

이와 함께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추모사를 낭독하며 눈물을 흘리고 퇴장하는 유가족을

문재인 대통령이 조용히 따라가 악수를 하며

한참동안 안아주며

위로하는 모습이 전국적으로 방송되었다

 

아버지의 품이 필요한 사람에게

아버지의 품을 대신해 준 문 대통령

 

온 국민의 대통령답게

마음씨가 참 따뜻한 문 대통령이다.

 

2017518일 목요일

 

청아당 엄 상 호

 

 

자료출처 :

문재인 정부 출범 후 기념식에서

문재인 정부가 518 광주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서 탄생한 것이라고 밝히고 앞으로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518 광주 민주화운동의 진실 규명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일부에서 자행되고 있는 518 폄훼와 왜곡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와 함께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추모사를 낭독하며 눈물을 흘리고 퇴장하는 유가족을 문재인 대통령이 조용히 따라가 악수를 하며 한참동안 안아주며 위로하는 모습이 전국적으로 방송되었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아 개헌 완료해야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참석자 전원이 공식적으로 제창을 한 모습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직후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의 <임을 위한 행진곡> 공식제창을 국가보훈처에 지시를 했고 그 지시가 이번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실행이 된 것이다.

<임을 위한 행진곡> 공식제창과 관련하여 문 대통령은 이 노래는 단순한 노래가 아니라 518 광주 민주화운동의 정신 그 자체라고 말하며 오늘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의 공식제창으로 앞으로 불필요한 논란이 끝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