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2016년 12월 9일
여의도 국회의사당내 전광판에
“대통령(박○혜) 탄핵소추안”에 대해 무기명투표를 실시했다.
故 노○현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 탄핵소추안이다.
찬성 234표 반대 56표 무효 7표 기권 2표
총 300명중에서 최○환 경제부총리만 불참한 채 299명 전원이 투표를 실시했다.
정○균 국회의장이 ‘탄핵소추안’이 가결(찬성)되었다고 선포하였다.
재적의원 300명 중 3분의 2인 200명이 찬성해야만 탄핵이 가결된다.
2004년 3월 12일 故 노○현 전 대통령에 대해 탄핵소추안을 통과시켰고
2004년 5월 14일 헌재에서 탄핵소추안을 기각하면서 노○현 전 대통령은 직무에 복귀했다.
이로 인해 정상적으로 국정을 운영하며 임기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12년 전 한나라당 대표인 박○혜에 의해
노○현 전 대통령을 상대로 탄핵소추안을 통과시켰지만 헌재에서 기각되었고
지금은 반대로 열린우리당에서 분파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 의해
박○혜 대통령이 국회에서 탄핵을 당하고 있는 상태이다.
2004년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통과되자
당대표인 박근혜의 입가엔 환한 웃음이 터져 나왔고
그 웃음은 12년이 지난 오늘에는 침통한 표정으로 바뀌고 말았다.
역사적인 아이러니가 발생한 것이다.
한마디로 인과응보이자 자업자득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는 참으로 알 수 없는 일이다.
그 누가 예상이나 했겠는가?
더민주 추○애 대표는
헌정사상 가장 많은 232만 명이
역사에 기록될 “12.9 촛불 혁명”을 일으켰다고 한다.
여당 비주류인 유○민 전 원내대표는
“가장 고통스러운 하루였다”고 한다.
대통령도 대한민국의 국민이고
국민들도 대한민국의 국민이다.
어쩌다가 여기까지 왔는지는 몰라도
우리들의 대통령이기에
탄핵까지 당한 것은 국민의 한사람으로써
가슴 아픈 일임에는 틀림이 없다.
처음부터
탈당을 원할 때
거국내각을 원할 때
명예로운 퇴진을 원할 때
제2선으로 물러난 후 질서 있는 퇴진을 원할 때
그때 합의를 보았으면 좋았을 걸
이제는 돌이킬 수 없는 곳까지 와버렸다.
탄핵 후에도
‘촛불민심’은
헌재에서 ‘탄핵심판’을 판결하기 전에
‘즉각 퇴진’을 원하거나 ‘자진사퇴’를 원하고 있다.
민심은 곧 천심인데
여전히 ‘즉각 사퇴’는 없다며 결백함을 주장하고 있다.
아직도 제왕적 대통령제로
70, 80년대에 머물러있으며
소통이 아닌 불통으로 국정을 운영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탄핵을 당한 박 대통령 자신은
주변사람들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점과 불찰로 인해
천인공노할 ‘최○실 국정농단’ 사건이 발생하였지만
진정 자신에 대해선
무슨 잘못이 있는지 이해하기 힘들다는 표정이다.
이제는 청와대에서 휴식을 취하며
특검에 대해 담담하게 대응해나가겠다고 한다.
“피눈물이 난다는 게 무슨 말인가 했는데 이제 어떤 말인지 알겠다”며
울먹였다는 보도가 나오자
더민주 문○인 전 대표는 “그건 국민이 할 말”이라며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2016년 12월 9일 금요일
청아당 엄 상 호 詩
'『오늘 올린 詩』 > 『오늘 올린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아가고 물러서는 법을 (0) | 2016.12.20 |
---|---|
난국을 헤쳐 나가다 (0) | 2016.12.13 |
꽃으로도 경찰을 때리지 마라 (0) | 2016.12.04 |
모든 것을 내려놓는다는 것은 통 큰 사람이다 (0) | 2016.11.30 |
버틸수록 강해지는 것이 바람이다 (0) | 2016.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