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올린 詩』/『오늘 올린 詩』

꽃으로도 경찰을 때리지 마라

청아당 2016. 12. 4. 23:15

꽃으로도 경찰을 때리지 마라

 

2016123

6차 평화 촛불집회에서 나온 말이다.

 

시위대에 의해 꽃 스티커로 장식한 경찰 차벽!

대치상태에서 경찰에게 국화꽃을 던지자

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꽃으로도 경찰을 때리지 마라!’

비폭력 평화집회를 외쳤다.

 

232만 명(서울 170만 명, 지방 62만 명)촛불 혁명

헌정사상 최대 규모의 촛불시위다

 

연행자 ‘0’

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이 횃불처럼 타올랐다.

새누리당 비주류인 비박계는

129조건 없는 탄핵 참여로 태도를 바꿨다

 

국회로 공 떠넘긴 대통령-갈팡질팡 정치권에 분노!

횃불이 촛불!

광화문 지나는 횃불 행렬!“

 

“‘마지막 경고였다.

대통령 퇴진이 아닌 즉각 퇴진

하야가 아닌 체포를 외쳤다

 

 

버틸수록 저항의 바람은 더욱 거세진다.

 

 

동아닷컴에 의하면

외신들도 역동적이면서도 평화롭게 진행되는 촛불 집회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의 정치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는 촛불 집회에 대해

김치만큼이나 한국적이라면서

깜짝 놀랄 만한 정치적 행동의 표출이라 평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박 대통령의 퇴진 지연 전술을 비판하며

지금 서커스를 끝냄으로써 약간의 품위는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동아일보에 의하면

시민단체는 세월호 참사일인 416일을 상징하는 횃불 416개를 들고 행진하겠다횃불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횃불의 수는 200여 개였지만 이들이 광화문을 출발해 청운효자동주민센터로 향하자 시민들은 안전에 대한 우려로 거리를 둔 채 길을 터주며 횃불 행렬을 도왔다.

 

이날 오후 7시에는 소등 퍼포먼스가 열렸다. 집회 관계자는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박 대통령의 행적이 명확하지 않은 ‘7시간을 비판하며 5차 때보다 1시간 당겼다라고 설명했다. 미국대사관의 ‘1분 소등 동참논란도 일었다. 대사관 최상층부 일부 사무실 불이 약 1분간 꺼졌다 다시 들어오는 모습이 한 방송사 카메라에 잡힌 것이다. 미국대사관은 이와 관련한 언론의 보도와 문의에 공식 답변을 내지 않았다.

 

동아닷컴에 의하면

주말인 3일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등 전국 곳곳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이 횃불처럼 타올랐다. 주최 측 추산 232만 명(경찰 추산 42만 명)이 참가해 지난주 5차 집회(주최 측 190만 명, 경찰 추산 33만 명)를 넘어선 헌정사상 최대 규모의 촛불 시위다. 박 대통령이 11293차 대국민담화에서 임기 단축을 여야 합의에 맡겼음에도 6차 시위 참가자들이 더 늘어난 것은 탄핵을 모면하려는 박 대통령과 우왕좌왕하는 국회에 대한 분노가 더 커졌다는 의미다.

 

새누리당 비주류는 어제 비상시국회의를 열어 9조건 없는 탄핵 참여로 태도를 바꿨다. 성난 촛불 민심이 여의도 새누리당사까지 몰려가자 주권자인 국민의 명령을 받드는 게 시급하다내년 4월 퇴진, 2선 후퇴를 대통령이 7일까지 밝히면 탄핵하지 않겠다던 당초 결정을 번복했다. 국민의당이 3일 새벽 탄핵안 발의를 서두른 것도 촛불 여론을 의식해서였다. 대통령에 대한 문책을 놓고도 각자의 정치적 득실만 따지는 여야를 촛불로 대변되는 민의가 탄핵안 처리 쪽으로 이끈 것이다.

 

법원은 이번에 청와대에서 100m 떨어진 지점까지 집회와 행진을 처음 허용했다. 대통령의 헌정질서 유린에 분노한 시민들이 평화적인 의사 표현을 통해 사실상의 집회 허가제를 무력화시켰다는 의미가 있다. 검찰이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가 필요하다며 법치를 세우려 한 것도 1112100만 명이 참가한 촛불 시위 다음 날이었다. 헌법 전문대로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의 수준을 기득권 정치나 제도가 못 따라 온 셈이다. 정당이 제 할 일을 못하니 국민이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법치주의와 헌정질서에 따라 대통령에게 맡긴 주권을 회수하는 혁명과 같은 일을 하게 됐다.

 

촛불 시위에선 박 대통령 즉각 퇴진과 구속 등 다양한 외침이 쏟아지지만 민심은 결국 우리들의 자손에게 부끄럽지 않게 물려 줄 제대로 된 나라를 이참에 우리 손으로 다시 세우자는 것이다. 광장에서 이런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을 일부 보수층에서 좌파세력의 조직적 동원이나 선동에 따른 것으로 폄훼, 매도하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2016124일 일요일

 

청아당 엄 상 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