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올린 詩』/『오늘 올린 詩』

돈오점수라는 함정에 빠지면 안 된다

청아당 2018. 9. 14. 10:05

돈오점수라는 함정에 빠지면 안 된다

 

깨달은 사람은

완벽한 삶을 사는 것처럼 묘사되어져 있는데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바람에 흔들리듯이

흔들리면서 사는 것이

인간의 탈을 쓰고나온 업보이다.

 

 

바람도 바람에 의해 흔들리듯이

깨달음도 깨달음에 의해 흔들리게 되어있다.

 

 

돈오점수(頓悟漸修)

깨닫고 난 후

깨달음을 유지하기 위해

완벽한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일 뿐

그 반대의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돈오돈수(頓悟頓修)가 되었든

돈오점수(頓悟漸修)가 되었든

점수돈오(漸修頓悟)가 되었든

점수점오(漸修漸悟)가 되었든

돈오점수라는 함정에 빠지면 안 된다.

 

 

돈오점수론은 고려시대 지눌이 강조한 것으로

돈오점수론이라는 그 자체는 좋지만

사람으로 태어나서 그러한 결과를 기대하기란

사실상 힘들기에

선오후수에 대해 너무 깊이 있게 몰입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고려 시대 지눌(知訥)돈오점수론도 이런 영향을 받았는데, 그는 ()’는 햇빛과 같이 갑자기 만법이 밝아지는 것이고, ‘()’는 거울을 닦는 것과 같이 점차 밝아지는 것과 같다는 비유를 들면서, 만일 깨우치지 못하고 수행만 한다면 그것은 참된 수행이 아니라 하여 선오후수를 강조했다.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듯이

보이지 않는 것 또한 많기 때문이다.

 

2018914일 금요일

 

청아당 엄 상 호

 

 

자료출처 :

다음백과 고사성어대사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26XXXXX00347

 

불교의 수행은 아래와 같이 네 가지가 있다.

돈오돈수(頓悟頓修) : 단번에 깨달아서 더 닦을 것이 없이 공행을 다 이루어 바로 부처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말한다.

돈오점수(頓悟漸修) : 단번에 진리를 깨친 뒤 번뇌를 차차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점수돈오(漸修頓悟) : 단계를 밟아서 차례대로 닦아 일시에 한꺼번에 깨닫는 것을 말한다.

점수점오(漸修漸悟) : 차츰 닦아 가면서 조금씩 깨닫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