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에너지 기화과정
<그림2-1 생명에너지 기화과정>
1. 영양에너지와 기본적인 생명에너지가 혼합된 상태(세포조직이 활동)
2. 丹을 계속 흘러내리게 하여 골수를 바탕으로 하단전·중단전·상단전의 축적밀도를 높인다.
3. 수증기[땀(수분)·呼氣(탁기·독기·사기가 빠져나감)]의 작용이 강하게 일어난다.
3-2. 단(丹)을 경락 부위에 유통시킴으로써 생명에너지의 밀도를 더욱 강화해 세포조직의 활동력을 높인다.
4. 수증기의 작용이 미약하게 일어난다.
4-2. 육체의 자정작용(自淨作用)으로 인해 기화(氣化) 현상을 일으킨다. 기의 축적밀도는 60~80% 이상이 된다.
5. 100% 기화(氣化)된 상태
☞ 컵에 담긴 물의 부피는 변하지 않고 다만, 작용하는 에너지의 종류만 바뀌게 된다. 마치 물속에 물감을 풀어 넣는 거와 같은 상태이다.
<그림2-2 생명에너지 기화과정>
1-1. 단(丹)을 계속 흘러내리게 한다.(밀도 있는 생명에너지 축적(기의 퇴적층화). 뜨거운 물을 붓는다)
1-2. 경락 부위를 유통시킴으로써 영양에너지에서 생명에너지화 되어간다.(기화현상 일으킴)
1-3. 영양에너지와 기본적인 생명에너지가 혼합된 상태(세포조직이 활동)
2-1. 수증기[땀(수분)·呼氣(탁기·독기·사기가 빠져나감)]의 작용이 강하게 일어난다.
2-2. 영양에너지는 새로운 생명에너지에 의해 밀려 나감
2-3. 기본적인 생명에너지는 밀도가 약함
2-4. 새로운 생명에너지는 밀도가 강해짐으로써 골수를 바탕으로 세포조직에 골고루 스며든다.(하단전·중단전·상단전으로 축적됨)
3-1. 영양에너지의 작용은 새로운 생명에너지에 밀려 미약하게 활동한다.
3-2. 60~80% 이상 축적
새로운 생명에너지(丹)가 우선적으로 작용하여 기존의 영양에너지 작용을 둔화시킨다. 영양에너지보다 더욱 큰 활동력을 발휘한다.
☞ 氣 → 丹(생명·붉음) → 육체(생명체에 丹을 축적하여 세포조직에 활동력을 강화함)
기를 응축시킨 결과가 丹이다. 세포조직이 왕성해지면서 활동력이 강화된다.(영양에너지 → 생명에너지 우선)
1986년 글
청아당 엄 상 호 글
'『제독행공 및 기의 현상들1』 > 3. 생명에너지 기화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에너지 기화과정 (0) | 2020.02.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