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향교(富平鄕校)
부평향교(富平鄕校)
고려인(고려사람)이 황무지인 카자흐스탄으로 쫓겨 간 후
토굴에서 생활하면서 농사를 지었고
농사를 지으면서 제일 먼저 한 일이 학교를 짓는 일이었다.
배우지 않으면 제대로 살지 못하기에
치맛바람을 일으켜가며 배우게 한 일이 교육열이다.
참으로 올바른 생각이라고 본다.
열과 성을 다하지 않으면 목표를 이룰 수 없기에
한국의 교육열만큼은 전 세계가 알아주고 있다.
배우는 사람도
배우게 하는 사람도
정성이 없다면 한낱 공염불에 그치기에
사력을 다하여 배우게 한 것이다.
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경인교대입구역에서 600m 올라가다보면
경인교대입구가 나온다.
경인교대 앞 건너편 골목길로
100m 더 올라가면 부평향교(富平鄕校)다.
부평향교 앞에는 홍살문이 있고
그 옆으론
‘부평향교 유림회관’이 세워져 있다.
안내문에 따르면
부평향교 유림회관은
2006년 10월 12일에
지하1층 지상3층으로 건립되었으며
도의와 윤리 교습장으로 활용되어지고 있으며
한문, 서예, 문인화, 예절, 다도 등 교습을 연중실시하고
방학을 이용하여 초․중․고교학생들에게
충효 및 예절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부평향교는 고려 인종 5년(1127)에
현 계양산 아래 남쪽 기슭에 건립되었다.
조선시대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 때
화재로 인하여 소실되었다가 숙종 14년(1688)에
현재의 위치에 재건되었다.
한때는 인천향교와 한 몸이 된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서로가 서로를 그리워하며 떨어져 지낸다.
그래도 계산삼거리 쪽
인천부평초등학교 내에 위치한
부평도호부청사가 그 뒤를 받치고 있어 외롭지 않게 서 있다.
향교의 건물배치는
한국 향교의 전형적인 전당후묘(前堂後廟)의 방식을 취하여
명륜당․재실(齋室) 등 교육시설을 앞에 놓고
그 뒤에 대성전과 동․서무의 문묘시설을 배치하였다.
홍살문을 거치면 외삼문이 나오고
외삼문을 열고 들어서면
명륜당이 반갑게 맞이해준다.
명륜당 좌우로는
동재와 서재가 배치되어져있고
내삼문에 들어서면
대성전이 엄숙한 자세로 서 있다.
대성전 안에는 공자상이 걸려 있고
대성전 좌우로는
동무와 서무가 나란히 배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교직사도 준비되어져 있다.
전통이 오래된 만큼
거대한 향나무가 허리를 낮춘 채
겸손을 유지하며 서 있다.
그 자태는 원을 그리며 날아오르는 봉황과도 같고
푸른 하늘을 향해 솟구쳐 오르는 용이
망등위(望燈位)에 올라서 있다.
그리고 교육과 충효의 향기는
향나무만큼이나 향기롭고
그 깊이 또한 가늠할 수 없을 만큼 빼어나다.
2018년 1월 29일 월요일
청아당 엄상호 詩
자료출처 :
안내문에 따르면
부평향교의 역사와 유래 – 인천유형문화재 제12호
부평향교는 고려 인종 5년(1127)에 현 계양산 아래 남쪽 기슭에 건립되었다.
조선시대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 때 화재로 인하여 소실되었다가 숙종 14년(1688)에
현재의 위치에 재건되었다.
그 후 일제 강점기인 1943년 10월 15일 일본인 부윤(府尹)에 의해 문학문묘(현 인천향교) 위패가 부평문묘에 통합되면서 인천향교라 칭하였다.
해방 다음 해인 1946년 3월 문학유림들의 요청에 의해 문학문묘가 복원되면서 양 문묘가 분리되면서 문학문묘는 인천향교로, 부평문묘는 부평향교로 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향교의 건물배치는 한국 향교의 전형적인 전당후묘(前堂後廟)의 방식을 취하여 명륜당․재실(齋室) 등 교육시설을 앞에 놓고 그 뒤에 대성전(大成殿)과 동․서무의 문묘(文廟)시설을 배치하였다.
설위는 5성위(聖位)와 송조(宋朝) 2현(賢), 아국(我國) 18현(賢) 등 총 25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1990년 11월 9일 인천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고 부평향교는 그동안 수차에 걸친 어려움과 행정구역의 변경 등이 있었으나 종전 부평군 구역(부평구, 계양구, 서구, 부천시)내 70여 유림들이 전래대로 석전봉행과 교궁의 보존관리 및 지역민들의 문화교육(충효예능대학)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다.
향교약사
1. 고려 인종 5년(서기 1127년) 계양산 남쪽 기슭에 건립하였다.
2. 조선조 인조 14년(1636년) 병자호란 시 화재로 인하여 소실되었다.
3. 병자호란 후 숙종 14년(1688년 8월 4일) 현 위치에 재건되었다.
4. 1943년 10월 15일 문학향교 위패를 부평향교에 합감하고 인천향교라 칭하다.
5. 1946년 3월 해방 후 문학향교를 복원하고 합감을 폐철하고 부평향교로 칭하다.
6. 1990년 11월 9일 인천광역시 지정문화재(유형) 12호로 지정되다.